카테고리 없음

Python 1일차 : 변수를 사용한 데이터관리

DevOhwa 2022. 8. 11. 16:29
반응형

220811

스스로하는 파이썬 공부. 1일차. 

기초중의 기초부터 공부한다. 

https://replit.com/ 를 사용. 콘솔로 바로 확인이 가능하다. 윈도우의 경우 ctrl + enter를 이용하면 콘솔에 바로 띄울 수 있다. 

 

 

 

Print

print("something")

- 괄호 안의 것을 출력한다. 

- " " 로 묶은것은 코드가 아니다. 그냥 텍스트라는것을 나타낸다.

이런 형태의 텍스트를 strings라고 한다. 글자들의 연속적인 집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큰따옴표의 역할을 문자의 시작과 끝을 표시하는것이다. 

- 언제나 ""닫는것을 주의해주는것이 좋다. 

- 혹시 오류가 생겼고, 그 이유를 모른다면 stackoverflow.com 으로가서 질의응답을 이용한다.

 

 

\n

print("Hello world!\nHello world!")

-\n은 출력물을 두 개의 행으로 나누어서 출력한다. 

- \n : 이 문자는 개행 문자로, 새 행을 뜻한다. 

- 백슬래시를 쓰는것을 잊지말길 바란다. 

 

 

생길 수 있는 오류들

SyntaxError : 문법오류. 예를 들어서 "를 하나만 사용했거나, 괄호를 닫지 않으면 발생한다.

IndentationError : 들여쓰기 오류. unexpected indent.

 

오류들은 미리 알아두는게 좋다. 그래야 빨리 해결하니까.

그렇지 않다면 타이핑을 정확하게 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근데 그것도 힘들 경우가 있겠지, 그럴때는 텍스트 편집기가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글자아래의 빨간 밑줄이나, 스크롤바에 붉은선을 표시해주는데 그것들이 보통나의 타이핑 오류이니 잘 살펴보길 바란다.

그리고 그런 글자위에 마우스를 두면, 그 상태로 코드를 실행했을 때 발생하는 오류를 알려준다. 

그럼 그 오류메시지를 구글로 검색하거나, 스택 오버플로우를 찾아서 오류와 관련된 내용을 상기한다(remind).

 

 

Input function

input(prompt)

prompt 부분에는 사용자에게 전달할 문장이 들어간다.

사용자에게 어떤 종류의 데이터가 들어올지에 대한 힌트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넣는다. 그리고 이 코드를 실행하면 프롬프트가 출력되고, 그 이후에 커서도 같이 나타난다. 

 

(예시)

print("Hello " + input("What is your name?"))

을 출력하면

What is your name?옆에 커서가 뜨고, 내 이름을 입력하면 Junghwa

> Hello Junghwa가 뜨는것이다. 

 

이 부분이 이해가 안간다면 Thonny.org 사이트를 이용하면 된다. 무료로 내가 하고자 하는것들을 시도하며 이해할 수 있는 만큼 코드를 쳐보면 된다. 가면 내가 입력한 함수가 어떻게 바뀌어 나오는지 세세하게 볼 수 있다. 딱히 필요없다면 안써도 무방하다.

 

파이썬에서 주석을 달고싶으면 #(해시태그)를 사용하면 된다. 혹은 코드를 드래그해서 선택하거나, 코드행에 커서를 두고 맥: command+/ 윈도우 ctrl + / 를 이용하면 된다. 실행취소는 당연히 알겠지만 ctrl + z이다. 맥은 command + z

새로운 것을 배울때마다 코드 위에 주석을 달아서 아래 코드에서 무슨일이 일어나는지 설명해두면 배움에 도움이 되겠지.

 

위의 input을 이용하여, 만일 사용자가 입력한 이름의 글자수를 알고싶다면 len() 을 이용하면 된다.

print( len( input("What is your name? ") ) )

이런식으로 이용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글자의 수를 나타내준다. 

 

파이썬 변수(Python Variable)

name = input("What is your name?")
length = len(name)
print(length)

변수명을 하나 지정하고, 함수를 적어주면 이제부터 그 변수는 내가 사용하고자하는 함수를 나타내준다. 위와같이 변수를 설정하고, print(length)를 해주면 이 글의 맨위에서부터 여태까지 해왔던 input함수를 길게 쓰지 않아도 원하는 결과값이 나온다. 

name이라고 지정한 변수로 인해서 내이름을 물어보고, 내가 이름을 답하면 length라는 변수로 지정한 len()함수가 사용자가 입력한 이름의 길이를 세서 마지막에 출력하게 된다. 

 

변수는 내가 원하는대로 l, m 등등 혹은 여러개의 단어를 이용해서 지어도 된다(당연히 공백은안된다. underscore_사용 ). 하지만 가장 중요한것은 가독성이다. 내가 나중에 봤을때도 변수가 무엇을 나타내는지 알아야한다.